본문 바로가기

Front-End19

[Javascript 기초] forEach(), map() 메소드 1. forEach() 메소드 forEach() 메소드는 배열의 요소를 반복하여 함수를 호출하며, 배열에서 루프를 돌 때 사용합니다. forEach() 메소드는 ES5 문법이며, 반복 처리가 가능하고 DOM 반복이 가능한 유사배열입니다. forEach() 메소드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colors.forEach((currentValue, index, arr)); currentValue: 배열의 값 index: 현재 항목의 인덱스(선택사항) arr: 현재 항목의 배열(선택사항) const colors = ["black", "red", "blue"]; colors.forEach((currentValue, index, arr)=>{ console.log(currentValue); // 배열값 console.. 2023. 5. 9.
[Javascript 기초] 조건문 if문, switch문 조건문 특정 조건을 걸어 해당 조건의 참, 거짓 유무에 따라 결과에 맞는 코드를 실행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. 조건문으로는 if 문과 switch 문이 대표적입니다. 1. if 문 조건식이 참인 경우 if문과 else if문을 실행시킵니다. if문과 else if문의 조건식이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경우 else를 실행합니다. else if문은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. //문법 if(조건식1){ // 조건식1이 참이면 해당 코드 블록을 실행, // 거짓이면 해당 코드 블록을 무시하고 다음 조건식으로 넘어감 } else if(조건식2){ // 조건식2가 참이면 해당 코드 블록을 실행, // 거짓이면 해당 코드 블록을 무시하고 다음 조건식으로 넘어감 } else { // 위의 모든 조건식이 거짓이면 이곳의 .. 2023. 5. 3.
[Javascript 기초] 함수의 매개변수, 인수, 리턴값 그리고 화살표 함수 1. 매개변수 (parameter) 매개변수란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로 특정 값(인수)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변수를 말하며, 인자라고도 불립니다. 2. 인수 (argument) 인수란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(parameter)를 통해서 전달되는 값을 말합니다. 인수로는 함수, 객체, 배열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. 3. 반환 값 (return value) 반환 값이란 함수 내부에서 만들어진 값을 함수 호출 시 외부로 전달할 때 사용하는 값을 말합니다. 또한, 함수 구문을 실행하는 도중에 특정 시점에서 강제로 실행을 중단시키는 기능도 있습니다. 반환 값은 함수 내에서 return 선언자를 사용하여 전달할 수 있습니다. // 매개변수: num1, num2 // 반환 값: result .. 2023. 4. 26.
[Javascript 기초] 함수의 이해 함수는 자바스크립트 기본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. 함수란 자주 쓰는 실행코드들을 블록단위 묶어서 패키징 해놓은 상태를 말하며,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하 자주 쓰는 코드들을 기능 단위 재사용하기 위해서 존재합니다.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function 키워드를 이용해 자주 쓸 코드들을 묶어서 정의해야 하고(함수 정의), 정의된 함수를 호출하여 기능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(함수 호출) 함수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 1. 선언적함수 2. 익명함수 3. 대입형함수 4. 즉시실행함수 1. 선언적함수 선언적함수는 함수에 미리 이름을 붙여서 정의해 둔 형태입니다. 자바스크립트를 읽을 때 선언적함수를 우선으로 읽고, 호출 위치가 자유롭다는 특징을 가집니다. //선언적함수 plus(); // (정상적으로.. 2023. 4. 24.